최근 변이 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우점종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특정 생물의 무리에서 그 집단을 특징짓는 대표적인 성격을 규정하는 한 종류를 우점종이라 한다.
따라서 우점종이란 그 지역의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 종류이며 다른 종에 비해 생산량이나 존재량이 월등히 많다.
주로 식물에서 우점종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삼림의 경우 우점종은 수목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생물의 집단들 중 어느 것이 많이 살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방형구법에 대한 재미있는 활동을 하였다.
1. 방형구법이란?
일정한 면적의 방형구 등에 구획을 설정한 후 그 내부에서 개체수, 생물체량, 종수 등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동식물의 개체군밀도나 분포양식, 또는 군집의 종류구성을 조사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고 있다. 원래는 정방형 틀을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하였으나 식물의 줄기, 그루터기, 가지, 잎과 같은 생물적 추출단위를 사용하는 방법 등도 원리적으로 같기 때문에 이런 것들도 널리 포함해서 구획법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개체수 추정을 위해서는 대상생물의 밀도, 분포양식에 따라, 또는 필요로 하는 조사 정도에 따라 추출해야 할 구획수를 정하고 무작위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정 간격마다 구획을 설정해 두는 등의 계통추출법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다단추출이나 층별 추출 등의 방법도 사용한다.
식물군락에 대한 종류 구성 조사에서는 종수-면적곡선으로 결정되는 최소면적을 구획의 크기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 면적은 초원 등에서는 1m2전후이지만 삼림에서는 100m2 이상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또 같은 장소에 구획을 장기간 설치하는 경우, 특히 그것을 영구 방형구라고 한다.
가· 방형구(quadrat)
: 한 장소에 살고 있는 식물 군집을 관찰하기 위하여, 어떤 일정한 크기의 장소 안에 살고 있는 식물 군집의 표본으로, 일정한 면적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사용하는데, 그 면적은 반드시 그 식물 군집을 대표할 수 있는 수준의 면적이어야 한다. 보통 사각형 모양으로 표본을 잡지만 경우에 따라 원형이 될 수도 있다.
3. 실험방법
가. 테두리만 있는 OHP 필름에 마음대로 스티커를 뜯어서 붙인다. (너무 큰 스티커를 많이 붙여버리면 그게 바로 우점종이 되어버리니 크기와 색깔이 골고루 들어가도록 잘 붙여준다.)
나. (1) 위에 간이방형구가 인쇄된 필름을 올려놓는다.
다. 간이 방형구 필름에 스티커의 색에 따라 같은 색의 네임펜으로 스티커의 모양을 그린다.
라. 각 색깔 스티커의 밀도, 빈도, 피도를 구한다.
* 밀도 - 각 색깔별 스티커의 갯수.
* 빈도 - 각 스티커가 출현한 소방형구수(작은 네모들)
* 피도 - 스티커가 소방형구를 덮고 있는 면적
'학교&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과수 12월 워크숍4-김미영(비누 만들기) (0) | 2021.12.18 |
---|---|
신과수 12월 워크숍3- 김인수(빛을 품은 명화) (0) | 2021.12.18 |
신과수 12월 워크숍1- 이미경(염도 측정) (0) | 2021.12.18 |
수석교사 멘토링 지도교사 워크숍 (0) | 2021.12.09 |
11월 워크숍4- 백종희(전기영동) (0) | 202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