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과서

새학기연수2-고교학점제

임성숙 2021. 2. 19. 10:27

 

오전에는 고색고의 정종욱 교장샘께서 오셔서 고교학점제에 대해 특강을 해주셨다.

 

(1) 고교학점제에 대해 어떻게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인가?

   1:10:100의 법칙을 통해 계획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 개발단계에서 문제점을 찾아 해결하면 1의 비용

- 생산단계에서 넘어간 뒤 뒤늦게 고치려면 10의 비용이 든다.

- 불량품이 팔려나가 고객에게 항의가 들어오면 100의 비용이 든다.

 

즉 계획초기에 문제점을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2) 21세기 역량의 평가와 교육프로젝트

- 사고방식 : 창의력, 혁신능력, 문제해결력, 의사결정력, 자기주도학습능력

- 직무방식 : 의사소통력, 협업 능력(팀워크)

- 직무수단 : 정보문해력

 

-

 

 

진로교육이 제대로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

 

(3) 미래 사회와 학교 교육

학생의 개별화를 중시하는 교육이 있어야 한다.

- 자기디자인적 개별화, 융합을 통한 개별화, 개별화 속 협업과 소통

 

(4)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누구를 위한 교육과정인가? - 학생을 중심으로 두고 편성운영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은 다양화할 수밖에 없다.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을 들여다보자.

 

 

융합선택이 교육과정에 들어옴.

 

 

학생들의 유형을 나누어보자.

다양한 학생들의 유형에 맞게 수업을 운영해보자.

즉 선택중심 수업방법으로 수업방법이 바뀌게 된다.

 

 

 

 

 

 

성취율 40%, 출석시수 2/3에 못 미치면 졸업이 안되게 된다.

그러나 이 점은 학교의 재량이 필요하다.

 

 

 

고교학점제 운영방법

1) 학교 교사수에 따라 지정과목을 정한다.

2) 1, 2학년들에게 예비수강과목을 정해본다.

3) 과목의 위계 관계가 잘 설정되어 있는가?

4) 학생들의 과목선택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안내한다.

 

 

교사수급을 건드리지 않는 범위에서 진로 교육이 중요하다.

 

 

 

고색고등학교의 예 설명함.

 

 

정규과정내에서 선택과목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진로가 바뀌는 사례 설명

요가를 하다가 편하게 운동하기 좋은 옷을 만드는 직업으로...

개와 연계된 직업이 엄청 많다.

 

 

 

 

우리는 위해 살아가는가?

사례중심의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방탄소년단의 노래를 사례로 보여줌.

 

나. 지금 나의 길을 제대로 가고 있는가?

 

 

 

 

 

 

 

 

 

 

 

 

 

 

자기주도제 학습역량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