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과서

2023 경기중등 교과연구회 연계 수업콜로키움

임성숙 2023. 7. 4. 19:29

콜로키움이란 모여서 함께 말한다는 뜻으로 전문가를 초청하여 발표르 듣고

참석자들과 자유롭게 의견을 조율하는 토론방식의 워크숍이다. 

교육청에서 오늘 국립국제교육원 1층에서 경기도 교사 연구회와 연계한 수업콜로키움을 한다고 연락이 왔다. 

내일부터 수석교사 직무연수가 진행되고 어제는 학교샘들과 전원주택 다녀온 직후라

피곤한 상태라 꼭 가야 하나 망설여지기도 했다. 

그러나 막상 가니  강의를 듣는 것도 나름 재미가 있고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1.  2022 개정교육과정 교과 교육과정의 이해(온정덕 교수)

 

Q1 . 우리는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하는가? 

학습자의 사고를 불러일으켜서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는가? 

 

(1) 2015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구조화하고 학습의 질을 개선

- 학습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르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2) 2022 개정교육과정 개발의 중점

- 학습자의 주도성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

- 교과 교유의 사고와 탐구를 명료화하여 깊이 있는 학습을 지원

 

(3) 역량이란?

  - 특정한 맥락이나 상황에서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를 통합적으로 작동시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수행한 정도(학생들이 할 수 있는 능력), 맥락성, 총제성

- 깊이 있는 학습(심화학습), 삶과 연계된 학습(사소한 것을 재미있게), 교과간 연계와 통합(통합적사고), 학습성찰

 

(4)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 촛점 : 교과학습의 결과로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 , 어떤 핵심적인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해야 하는가? 

- 깊이: 어떤 과정과 사고기능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게 할 것인가? 

- 연계성: 교과내, 교과간 연계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 

- 일관성: 교과 교육과정 구성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관련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5)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제

- 교육과정 설계 방향, 총론과의 연계, 교육과정 구성 요소에 영역, 핵심아이디어, 내용요소 등의 관계설명, 교과 역량제시

- 성격 (교과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목표(교과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갖추길 기대하는 능력을 목표에 반영)

- 내용체계 : 핵심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영역별 지식 이해, 과정 기능, 가치 태도 세 차원으로 구성

- 성취기준: 영역별 학습결과 진술, 내용체계의 세 차원을 의미있게 통합해 학생의 수행을 보여주는 문장으로 기술

 

(6) 핵심아이디어

- 교과의 얼개를 드러내면서도 학교밖에서도 탐구할 가치가 있는 것,

- 영역별로 학습의 촛점을 부여함으로써 깊이 있는 학습의 토대가 되도록 한다. 

- 영역을 구성하는 세 차원(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 태도) 의 내용요소의 기준/근거로 작용한다. 

- 학습자가 교과 학습을 통해 궁극적으로 내면화/체화, 자기 지식으로 만들어 전이할 수 있어야 한다. 

 

- 무엇을 중심으로 사고하고 의미를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하는가?  

- 학생이 질문을 제기하며(혹은 가설을 설정해서) 학습자 자신의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탐구의 과정이 필요하다. 

- 지식을 아는 것이 아니라 탐구를 통해 지식을 확장, 정교화,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차시 수준의 질문, 단원 수준의 질문,  인공지능의 튜터와 교사의 튜터 기준의 질문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7)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의 방향- 교수학습

- 학교는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핵심역량 함양하여 교수학습을 설계, 운영

- 수행평가를 내실화하고 서술형과 논술형 평가의 비중을 확대한다.

- 개별 학생의 발달 수준 및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계획을 조정할 수 있으며, 특수 학급 및 일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특수 교육대상 학생을 위해 필요한 경우, 평가방법을 조정할 수 있다. 

(8) 성취기준- 내용체계표상의 학습요소, 핵심아이디어와 연결?

- 평가과제/문항으로 측정할 수 있게 계획했는가? 

- 과제 수행의 정도(숙련도)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기준/수준으로 구체화되었는가? 

- 타당도(가르치고자 의도하고, 실제로 가르친 것을 평가하는가? ), 신뢰도(평가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가?)

(9) 평가기준이란 무엇인가? 

- 교육과정 분석하기 : 단원/영역별 성취기준과 내용요소 매칭&핵심아이디어 확인

- 영역/핵심 아이디어 차원에서의 포괄적 질문 만들기

- 수행과제 개발 후 평가기준 만들기 

 

2. 학생 주도성이 실현되는 교실 수업 제안( 허영주)

(1) 깊이있는 학습에서 깊이가 있음을 판단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교사? 학생? 교과서 저자? 

학생은 어떤 학습을 원하는가? 폭망 수업으로 부터 배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2) 학생들의 삶과 연계성이 있는 수업을 계획하자

- 자신이 사는 동네의 맛집 지도를 영어로 제작하기 활동

-  교사는 네이버에서, 학생은 인스타에서 찾는 다름에서 폭망하였다. 

- 수업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묻는다. 

  (선택권과 발언권을 보장하도록 한다. )

(3) 만족스러웠던 학생 주도성 실현 수업 사례

- 학생의 선택과 의견이 보장되고 교사의 피드백이 넘치는 교육과정 재구성

- 교사와 함께 학습한 후, 수업 중간에 형성평가 실시

 학생은 형성평가 유형, 난이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 수업 설계시 학생들에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니 깊게 몰입한다. 

  즉 학생 주도성과 주인의식을 갖게 한다. 

- 가능하다면 수업 중 다양한 유형의 난이도의 task를 준다면 학생들은

 자신의 성향 및 가치관에 따라 자신만의 선택을 한다. 

-  수업 진행의 문제점도 교사가 해결책을 제시하기 보다는 학생들에게 해결방안을 정하도록 한다. 

  발언권 보장하여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수업임을 인지시킨다. 

- 기기와 에듀테크는 목적이 아닌 도구이다. 

(4) 학생에게 AI에게 추천받은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것은? 

- 학생주도성, 깊이 있는 학습이 보장될 것일까? 

- 교사는 수업설계시 학생들의 choice와 voice를 반영하여 설계한다. 

 

3. 문해력 향상을 위한 피드백 지향적 평가와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가능성                                                                     

(1) 문해력의 변화

- 문자에서 시민, 디지털의 시대로 변화

- 디지털 문해력과 복합양식  문해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 2022 개정교육과정의 문해력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필요

  디지털 전환, 기후 생태 환경 변화, 언어 수리 디지털 기초소양 필요

 

(2) 문해력 교육이란

1) 수용적 측면

- 정보의 수집과 해석

- 비판적인 읽기

- 지식의 유연성

- 지식에 관한 긍정적 가치 인식

2) 생산적 측면

- 정보의 재생산과 활용

- 창의적 아이디어

- 지식을 통한 새로운 의미의 창조

- 사회적 문제 참여와 해결능력

 

(3) 피드백의 현실

- 공교육은 학생들에게 진실된 피드백을 하고 있는가?  

- 서술형 논술형 평가의 경험은 읽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침

- 서 논술형 평가는 다양한 문제 상황과 조건을 고려한 다양한 학문의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함. 

- 답안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논리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단계별, 서논술형 평가가 필요하다. 

 

(4) 교육자로서 인공지능을 접하는 태도

- 완전히 자동화된 기술에 의존 vs 교사의 주도성이 살아있는 활용

- 교육에서의 ai 방향성은 완전, 완벽이 아닌 교사의 자율성을 보조한다. 

- 교사가 어떤 교육 철학으로 사용하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5) 교사의 자율성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활용가능성

1) 의도

- 서논술형 평가의 채점 부담 완화

- 서술형 평가의 채점일치도 확보

- 신속하고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 직관적인 평가 결과 확인

- 실제적인 수업맥락 속 평가

2) 기대

- 서논술형 평가의 활성화

- 평가 신뢰도 제고

- 심층적인 학생 능력 파악

- 동기 촉진

- 수업과 평가의 맥락화

- 경비절감

3) 교사 서술형 채점 부담 완화->  다양한 피드백 형성 -> 학생의 문해경험 증가 -> 미래 역량과 기초소양 확보

 

 

강의 후에는 강사들의 토론 및 의견 공유가 있었다. 

1. 연구회 차원에서 수업과 평가 및 나눔의 필요성

2. 연구회에서 해야 할 일은? 

3. 작은 질문이 어떤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4. 우수 수업사례보다 실제 수업사례 공유

5. 에듀테크는 도구임을 잊지 말자. 

6. 교육의 철학은 교사에게 있다. 

7.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